분류 전체보기 (18)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.11.07 (유명간#24) 퀀트 전략 - 실적 변곡점, 컨센서스 분포로 확인 출처: https://youtu.be/ZC8Mh_1tGE4?si=gJEBdXghF4SxpUJ3 시가총액 3,000억원 이상,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4개 이상인 기업들 중 1) 2024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율(1M, 3M)이 플러스이고 2) 2024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최대값 변화율(1M, 3M)이 플러스이며 3) 2024년 영업이익 증가율이 10% 이상인 기업들을 다음과 같이 선정했다. 또한,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하향 조정된 기업들 중에서 1) 2024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동계수가 하락했고 2) 2023년 영업이익 증가율이 둔화했으며 3) 2024년 영업이익 증가율이 10% 이상인 기업들도 다음과 같이 선정했다. 2023.09.04 (유명간#23) 퀀트 전략 - 매출 성장으로 좋은 실적주 판별 출처: https://youtu.be/Bv8eW1pmfy4?si=XDj5e8_SK0v2djvj (사경인) 적정 주가 계산 공식(S-RIM) 기업가치 = 자기자본 + 초과이익 = B0 + B0 * (ROE - ke) 할인율 ke 1. 요구수익률 구하기 ke는 요구수익률이다. 요구수익률은 https://www.kisrating.com/ -> 신용등급 -> 등급통계 -> 등급별 금리스프레드 에 기재된 BBB- 등급 채권의 5년 수익률을 적용한다. 2. 자기자본 구하기 B0는 자기자본이다. 자기자본은 https://www.fnguide.com/ -> Snapshot 페이지의 Financial Highlight 섹션에 기재된 지배주주지분을 적용한다. 3. ROE 구하기 ROE는 https://www.fnguide.com/ -> Snapshot 페이지의 Financial Highlight 섹션에 기재된 ROE 추정치를 적용한다. ROE 추정치가 없다면.. 2002.07.06 (박경철) 봉 패턴 봉의 꼬리가 전일 양봉의 저점을 위협하면 상투 확률 90%이다. (박경철's comment: 특히, 최근 과열된 종목이라면 상투 확률이 높다. 상기 패턴 우측에 십자형 봉 같은 게 있으면 눌림의 정도가 깊다.) 긴 양봉 이후 갭상승한 십자봉. 이후 갭하락한 음봉 ===> 매도의 급소 상기 패턴 좌측에 양봉이 더 있으면 ====> 확실히 매도의 급소 비록 십자봉 이후 음봉이 나타나긴 했지만, 십자봉의 종가보다 음봉의 시초가가 높다면 ===> 50:50 확률로 상승 or 하락. 비록 십자봉 이후 장대 음봉이 나타나긴 했지만, 십자봉의 종가보다 음봉의 시초가가 높다면 ===> 50:50 확률로 상승 or 하락 긴 양봉 이후 갭상승한 십자봉이 두 개 나타나면 ===> 75%의 확률로 갭하락한 음봉 발생 양봉들 .. 2002.06.22 (박경철) 이동평균선 Q: 이동평균선은 몇 일로 세팅하는 게 좋은가? A: 주가를 파도에 비유하자면, 파도의 파장의 1/2로 세팅하는 게 좋다. 예컨대, 한 사이클이 240거래일이라면 120일 이평선 이용 상승1파: 선물 매도 포지션 보유자들이 가파른 상승세에 놀라 매도 포지션 청산 (a.k.a. 심리적 반등, 숏커버링). 200일 이평 돌파하는 경우가 많음 상승2파: 심리적 반등의 반작용으로 인해 깊은 눌림목 형성 상승3파: 주가가 전고점을 돌파하면 사 람들이 추세에 편승하기 시작 상승4파: 추세 편승 흐름 속의 얕은 눌림목이므로 200일 이평선의 지지 받음 하락 파동은 상승 파동과 정반대라고 보면 됨 단순이동평균: (N일 동안의 주가 합) / N 수정이동평균: 회계학에서 주로 사용됨. 오늘의 주가와 과거의 평균을 동일한 .. 2002.06.15 (박경철) 이동평균선 * 이평선 1개 이용: 주가가 이평선 상향 돌파 시 매수, 하향 돌파 시 매도 * 이평선 2개 이용: 골든크로스(단기이평선>장기이평선)에서 매수, 데드크로스에서 매도 * 이평선 3개 이용: 정배열에서 매수, 역배열에서 매도 * 이평선 4개 이용: (5/20/60/120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변경 가능) 60이평과 120이평이 상승 추세이고 60이평이 120이평을 상향 돌파했으면 대세상승장임. 정반대는 대세하락장임. 대세상승장에선 5이평이 20이평 상향 돌파 시 매수하고, 매도는 하지 않음. 대세하락장에선 5이평이 20이평 하향 돌파 시 매도하고, 매수는 하지 않음 2002.06.08 (박경철) 거래량 분석 - 사토 신이치로 참고: https://youtu.be/FsQEAp_vTu0?t=2460 조주(助走; Field Wall)는 거래량의 매집과 분산을 설명하는 이론이다. * 4~6개월 동안 주가가 횡보한 뒤 일점바닥을 형성 * 4~6개월 동안 주가가 횡보하는 와중에 약 2개월마다 거래량 피크가 형성되는데, 이 때 피크의 높이는 점점 높아짐 * 큰손 매집을 눈치챈 개미들에 의해 거래량 피크가 발생하는 건데, 그때마다 큰손은 물량을 되팔아서 가격을 떨어뜨림 * 4~6개월 동안 주가가 횡보하는 동안 큰손들은 매집 목표량의 70% 매집 * 일점바닥 이후 주가가 장대 양봉을 그리면서 돌파해 나감. 거래량도 多 * 일점바닥 이후 주가 반등 국면에서 큰손들은 매집 목표량의 20% 매집 * 장대 양봉 이후 낮은 눌림목에서 주가 횡보. 거.. 2002.06.01 (박경철) 거래량 분석 - 사토 신이치로 참고: https://youtu.be/j8zeSsvci9k * 평소보다 아주 많은 거래량(i.e. 3년간 거래량 평균의 3배 이상이거나 총 발행주식수의 10% 이상)이 동반된 날이 단기 고점이다. * 거래량이 증가하면 주가가 상승하고, 거래량이 많이 증가하면 주가가 많이 상승한다. 거래량만 증가하고 주가가 상승하지 못한다면 매도 포인트다. * 관문(의미있는 선. e.g. 횡보, 갭하락, 윗꼬리 긺)돌파를 위해서는 이전에 형성된 거래량을 돌파하는 거래량이 필요하다. * (박경철 생각) 위 그림처럼 거래량을 동반한 관문돌파를 1회나 2회 했다면 매도실현을 한 매도자들이 빠져나간 상황이므로 후속 관문에선 거래량이 적다. 그렇지 않다면 후후속 관문에서 관문돌파가 힘들다. * 주가가 저점을 찍고 상승하는 국면에서.. 이전 1 2 3 다음